심장의 전기적 신호 발생과 전달 이상 증상 '위장관이물'
생후 6개월에서 3세 사이의 어린이들은 손에 잡히는 대로 입에 가져가 삼키기 마련입니다. 어린이가 장난하다 삼키는 이물의 종류는 동전, 머리핀, 열쇠, 반지, 바둑돌, 수은 전지, 플라스틱 장난감 조각, 귀걸이나 목걸이 같은 장신구, 바늘, 못, 자석, 음식물 등 매우 다양합니다. 천공 의심되면 수술적 치료 필요 이같은 이물이 흔히 걸리는 위장관 부위는 식도, 위, 유문부, 십이지장공장 만곡부, 회맹판, 항문 등입니다. 위장관 이물의 80-90%는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위장관을 거쳐 항문으로 자연 배출되지만, 이물이 위장관내에서 걸려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이물을 제거하게 되며 이물이 걸린 위치가 소장 등 내시경으로 제거가 어려운 부위이거나 이물에 의한 천공(구멍)이 의심되는 경우..
2024.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