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심혈관질환2 혈관 건강의 첫걸음, '고혈압' 바로 알기 우리나라의 사망통계를 보면 사망원인 1위는 암이고 그 뒤를 따르는 질환이 뇌혈관과 심혈관 질환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암은 위, 간, 폐암 등 모든 장기의 질환을 합하여 나타낸 것이며 뇌혈관, 심혈관질환은 결국 혈관의 질환이기 때문에 모든 장기 중 사망과 가장 밀접한 단일 장기는 혈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혈압에 대한 오해] 이러한 혈관 질환이 무서운 점은 흔한 사망의 원인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이미 증상이 나타났을 경우에는 치료에 장기간의 입원, 고비용의 수술 혹은 시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고, 치료 후에도 정상적인 생활이나 직장 활동이 어려워지거나 장애가 남을 수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혈관 질환은 예방하거나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혈관 질환.. 2023. 11. 19. 대사증후군 특별 증상 없다가 심혈관질환으로 이어 사망까지..? '죽상동맥 경화증'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중요한 위험인자로 확인된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이 한 사람에게 동시 다발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말하며, 생활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고지혈증, 복부비만, 고혈당 등의 위험인자가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군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사증후군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이유는 이 위험인자들의 조합이 특별한 증상은 유발하지 않으면서 죽상동맥경화증에 큰 영향을 주다가 결국 심혈관질환의 발생으로 이어져 사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50대 이후에는 여성 유병률 높아 최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전체 유병률은 남성에서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023. 11. 19.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