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식도염1 식도이완불능증 최근 위식도 역류 질환 환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생각하고 약물 투여를 해도 호전 없을 경우, 이유를 알 수 없는 흉통이 지속되는 경우, 삼킴 곤란이 서서히 악화되는 등, 식도의 운동기능 질환을 생각해 봐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질환이 식도이완불능증입니다. 개요 식도는 약 24cm의 근육기관으로 상부식도 괄약근에서 시작됩니다. 음식물을 먹게 되면 상부식도 괄약근이 이완되며 식도 체부로 이동합니다. 체부의 연동 운동을 통해 하부식도 괄약근으로 이동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이 이완되어 음식물이 위에 도달하게 됩니다. 식도 이완 불능증은 일반적으로 식도 체부의 연동 운동이 소실되고 안정시 하부 식도 괄약근이 충분히 .. 2024. 2. 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